흑룡강의 200전사 신유 : KBS1 - 한국사전 |
링크 | 동영상 | 원본/방송사 | |
* 유튜브 동영상이 없거나 설정차단시 원본 VOD로 링크 처리합니다. |
제목 | 흑룡강의 200전사 신유 | 채널 | KBS1 | 방송 | 2007년 08월25일 |
프로그램 | 한국사전 | 010회 | 시대 | + 조선 | 연대 | + 17세기 |
키워드 | 신유,나선정벌,흑룡강,북정록,조총병, 사이호달 | 테마 | + 청나라 | ||
태그 |
내용 |
1658년 6월 10일 흑룡강에서 나선정벌의 승리에는 탁월한 사격술을 지닌 200명의 조선 조총병, 그리고 조선의 명장 신유가 있었다! 한국 방송 최초 현장 취재 "나선정벌의 전투지, 흑룡강" 중국대륙과 시베리아가 만나는 흑룡강. 그 곳에서 조선·러시아 연합군과 러시아 코자크의 전투가 있었다. 치열한 전투 중, 신유의 감정을 토로한 기록,<북정록> - 신유는 전쟁의 전개과정과 전투 기간 중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대해 일기에 기록하였다. 맹위를 떨친 조선 조총병의 사격술! - 17세기, 효종은 북벌정책을 추진하면서 군사력을 강화한다. 17세기 세계 최고의 전투력, 코자크와 맞서다. 17세기, 러시아 남부에 용맹을 떨치고 있던 세력이 있었다. 코자크! 그리고 200명의 조총병을 포함한 260여 명의 조선군을 이끌고 조선의 장수 신유는 원정길에 나선다. 1658년 6월 10일 흑룡강, 탁월한 사격술의 200전사를 이끌다. 신유의 조선군 260명을 비롯, 천여 명의 조?청연합군을 태운 56척의 배가 11척의 코자크 전함을 향해 항진하였다. 200명의 조선 조총병이 나선정벌을 승리로 이끈 것이다. 신유는 왜 조선의 원수를 도와야만 했는가? 청을 돕기 위한 파병군의 장수로서 신유는 청나라 대장군 사이호달의 명령을 받들 수밖에 없었다. 당시 조선은 청나라를 치기 위해 군사력을 키우고 있었다.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를 치기 위해 양성되었던 조선의 조총병, 그들은 왜 청나라를 도우러 간 것일까? 승리의 영광, 그리고 파병군의 장수가 느껴야 했던 비애 조선의 화승총보다 뛰어난 성능의 러시아 소총을 들여와 조선의 군비강화에 일조하고자 한 것이다. 350년 전, 수천 리 떨어진 흑룡강에서 목숨을 잃은 조선군사들. |
* 출처 : KBS1 - 한국사전 |
--- 유튜브에서 공유된 동영상입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는 경우 메일 주시면 처리하여 드리겠습니다. |
댓글목록 0